🔍 지투파워 IR 분석|AI 배전반 기술로 전력 인프라의 미래를 설계하다
지투파워는 단순한 전력기기 제조업체가 아닙니다. 이 기업은 AI와 IoT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배전 인프라를 제공하며,
수배전반 분야에서는 국내 관급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입니다.
특히, 자체 개발한 CMD(부분방전 감시진단) 기술은 전력 사고를 사전에 예측하며, 고효율·고안정성의 배전 시스템을 실현하는 핵심 원천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매출 구조 변화
항목 | 2023 | 2024 | 2025 1Q |
---|---|---|---|
총매출(억원) | 494 | 554 | 100 |
수배전반 비중 | 62.7% | 63.2% | 65.7% |
태양광 시스템 | 27.3% | 26.8% | 26.8% |
ESS | 8.1% | 5.4% | 4.6% |
영업이익률 | 12.0% | -3.7% | -12.7% |
수주잔고(억) | 771 | 943 | 1,203 |
※ 2025년 적자는 대형 프로젝트 납기 지연으로 인한 일회성 손실이며, 본질적인 수익성 훼손은 아님.
🧠 CMD 기술력: 전문가도 놓치는 지점
CMD는 단순한 센서가 아닙니다. 지투파워는 RBFNN 기반 AI 신경망을 통해, 전기기기 내부의 부분방전(PD) 신호를 98% 이상의 정확도로 예측합니다.
이 기술은 IR52 장영실상 수상, 조달우수제품/혁신제품 인증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이로 인해 타사는 경쟁입찰 / 지투파워는 수의계약이라는 구조적 차이를 만듭니다.
🔋 ESS 사업: 시장을 바꾸는 수냉식 전략
현재 ESS 시장은 공기냉각 기반의 장비가 대부분이지만, 지투파워는 액침 냉각형 ESS를 개발 중입니다.
배터리 셀 온도·전압·임피던스 진단까지 가능한 AI-BMS를 탑재하고 있으며, 2024년 113억 규모 정부 과제 주관기관 선정으로 26년 상용화를 확정지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확장이 아닌, 전력 피크제어·재난 방지형 ESS 시장에서의 기술 선도 전략입니다.
📌 투자 포인트 요약
- 국내 관급 수배전반 시장 점유율 1위 (2024년 기준 6.01%)
- AI 기반 CMD 기술은 정부 인증 + 고마진 제품화 성공
- ESS 수냉식 기술 선점으로 장기적 고성장 진입 기대
- 수의계약 기반 안정적 수익구조 + 기술 프리미엄
⚠️ 리스크 및 유의사항
- 2024~2025년 일시적 적자 → 프로젝트 지연 및 일회성 손실
- ESS·이차전지 부문은 아직 매출 기여도 낮음
- R&D 지출 구조로 규모의 경제 실현 시 수익성 급상승
📘 마무리 요약
지투파워는 단순 제조 기업이 아닙니다.
CMD와 ESS 기술을 가진 AI 전력 플랫폼 기업으로, 조용히 다음 시장을 준비 중입니다.
이 기업의 실적이 회복되는 시점, 시장은 이 기술을 재평가하게 될 것입니다.
🔗 관련 IR 분석 보기
'경제 > 국내기업 ir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상반기 셀레믹스 IR 분석|정부과제와 수출이 끌어올린 진단 플랫폼의 저력은? (0) | 2025.05.26 |
---|---|
🎮 2025 상반기 위메이드 IR 분석|1,400억 매출의 비밀, 진짜 수익은 게임이 아니다? (0) | 2025.05.25 |
2025 상반기 인스피언 IR 분석|SAP 기반 보안과 클라우드 EDI, 두 가지 반복 매출의 실체 (1) | 2025.05.24 |
2025년 에코프로비엠 IR 분석|하락장 속 매출 반등? 구조적 반전의 조짐 (0) | 2025.05.23 |
2025년 KH바텍 IR 분석|폴더블·전장 동시 공략, "이익률 2배 뛸 시점은?" (5)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