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위메이드 IR 분석|1,400억 매출의 비밀, 진짜 수익은 게임이 아니다?
블록체인 게임 기업으로 포지셔닝된 위메이드는 2025년 1분기 연결 매출 1,418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10%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24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지만, 위믹스 플랫폼의 확장성, 현금성 자산 3,284억 원 유지 등을 고려할 때 단순 실적보다 사업 포트폴리오의 구조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핵심 수치 요약
항목 | 2024 1Q | 2025 1Q | 증감률 |
---|---|---|---|
연결 매출 (억) | 1,576 | 1,418 | -10.0% |
영업이익 (억) | 185 | -224 | -221.1% |
순이익 (억) | 140 | -97 | 흑자→적자 |
게임 매출 비중 | 71.3% | 68.6% | -2.7%p |
블록체인 매출 비중 | 2.1% | 0.55% | -1.55%p |
현금성 자산 (억) | 3,712 | 3,284 | -11.5% |
🔍 사업 구조와 핵심 해석
- 게임 부문은 ‘미르4’, ‘나이트크로우’ 등 RPG 기반으로 안정적 매출 유지
- 블록체인 사업 매출 비중은 낮지만, ‘위믹스 3.0’, NFI 시스템 도입 등 **장기 성장성** 보유
- 중국 IP 라이선스 재계약으로 추가 로열티 수익 기대
💡 투자 포인트 요약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3,000억 원대 유지 → 장기 유동성 확보
- 단기 적자에도 불구하고 IP 재활용 + 플랫폼 수익 모델 구축 중
- 블록체인/Web3 사업은 아직 적자지만, **플랫폼 전환 초기 투자 단계**로 평가 가능
⚠️ 리스크 체크
- 2025년 1분기 기준 **연결 기준 적자 전환**
- 블록체인 매출은 기대와 달리 **0.55% 수준** → 실제 수익 기여는 아직 미미
- 해외 진출 및 규제 리스크에 따른 **글로벌 사업 불확실성 존재**
📘 한줄 요약
위메이드는 지금까지 ‘게임’으로 벌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위믹스 플랫폼**으로 세계를 노린다.
그 구조가 지금은 적자처럼 보여도, 기술기업으로의 전환 포석일 수 있다.
🔗 관련 IR 분석 보기
반응형
'경제 > 국내기업 ir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 상반기 오픈엣지테크놀로지 IR 분석|2025 반등의 조건, AI 반도체 IP의 미래는 여기 (1) | 2025.05.27 |
---|---|
🧬2025 상반기 셀레믹스 IR 분석|정부과제와 수출이 끌어올린 진단 플랫폼의 저력은? (0) | 2025.05.26 |
2025 상반기 지투파워 IR 분석|AI·ESS 기술로 전력 산업을 장악할 준비된 강자 (0) | 2025.05.24 |
2025 상반기 인스피언 IR 분석|SAP 기반 보안과 클라우드 EDI, 두 가지 반복 매출의 실체 (1) | 2025.05.24 |
2025년 에코프로비엠 IR 분석|하락장 속 매출 반등? 구조적 반전의 조짐 (0)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