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융계의 모든 정보를 여러분의 일상속에!
경제/해외기업 ir 분석

2025 상반기 잉글우드랩 IR 분석 ②|숫자는 보여주지 않는다. 진짜 실적 흐름을 읽는 법

by 아라보자 스튜디오 2025. 5. 17.
반응형

잉글우드랩 IR 분석 ②|숫자는 보여주지 않는다. 진짜 실적 흐름을 읽는 법

1편에서 우리는 잉글우드랩이라는 이름 아래 존재하는 세 개의 기업—미국 본사, 한국 제조법인, 그리고 지배회사 코스메카코리아—를 살펴봤습니다.

이번 2편에서는 이들 기업의 연결 구조가 실적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으며, 투자자는 어떤 지점을 주목해야 하는지 본격적으로 해석해봅니다.

 

📊 1. 숫자만 보면 좋아 보입니다

 

  • 잉글우드랩 FY24 매출: 약 1,600억 원 (USD 기준)
  • 잉글우드랩코리아 FY24 순이익: 183억 원 (매출 707억 원 대비 높은 수익률)
  • 코스메카코리아 연결매출: 3,900억 원 (잉글우드랩 포함)

겉으로 보면 매우 안정적인 실적 흐름입니다. 특히 잉글우드랩코리아의 순이익률이 25%를 넘는다는 점은 인상적이죠.

 

🧠 2. 그런데 전문가용 시야로 보면 이렇게 보입니다

 

  • 📌 잉글우드랩코리아의 매출 감소(전년比 –30%)에도 불구하고 이익 유지: 단가 상승 or 비용 축소의 구조적 배경이 명확히 설명되지 않음. → **내부거래 비중 증가 or 제조원가 회계처리 변화 가능성**.
  • 📌 미국법인–한국법인 간 거래 흐름 불투명: 연결재무제표에는 반영되나, 각사 공시로는 정확한 거래 단가 확인 불가.
  • 📌 무형자산의 증가 없이 감가상각만 증가: 일부 유형자산의 교체 없이 비용 인식이 이뤄지는 구조는 **재고나 고정자산 활용률 변화** 가능성 있음.

이런 신호들은 “숫자는 멀쩡하지만, 내부 구조는 리셋 중”이라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 전문가도 놓치기 쉬운 투자 포인트

 

  • ✅ 잉글우드랩그룹은 미국 화장품 OEM 시장의 ‘OTC 인증 기반 제조사’로 **FDA 등록 + 특허 기반의 경쟁력을 가진 드문 기업**입니다.
  • ✅ 하지만 실제 수익을 만드는 건 잉글우드랩코리아이며, **이 법인은 비상장사로 실적 가시성이 매우 낮습니다.**
  • ✅ 그렇기 때문에 잉글우드랩코리아의 실적 흐름이 유지되느냐가 상장사 투자에서 핵심이 됩니다.

 

💡 일반 투자자라면 이렇게 이해하세요

 

“잉글우드랩”이라는 이름으로 상장된 기업은 **그룹의 얼굴**이지만,

실제 제조와 수익은 대부분 **잉글우드랩코리아에서 발생**합니다.

이 회사가 상장된 건 미국법인(Englewood Lab Inc.)이고, 코스메카코리아가 그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는 구조죠.

 

즉, 이 회사에 투자한다는 건 결국 코스메카 → 잉글우드랩 → 잉글우드랩코리아로 이어지는 수익 구조의 흐름 전체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 정리하면 이렇게 봐야 합니다

 

  • 잉글우드랩이라는 브랜드는 단일 기업이 아닙니다.
  • 비상장 자회사의 실적이 그룹 수익을 좌우하고 있습니다.
  • 지배구조는 명확하지만,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투자 리스크는 존재합니다.

 

🧭 마무리: 이렇게 투자에 활용하세요

 

잉글우드랩그룹은 단일 기업으로 보기엔 복잡하고, 단순한 제조사로 보기엔 경쟁력이 있습니다. OTC 화장품, 미국 ODM, 글로벌 수출 등 매력적인 키워드를 갖췄지만, 수익을 만드는 법인과 상장법인이 다른 구조라는 점을 반드시 감안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기업에 투자한다면, **매분기 잉글우드랩코리아의 감사보고서(공개자료)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며 **상장사 IR 발표와의 괴리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