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융계의 모든 정보를 여러분의 일상속에!
경제/국내기업 ir 분석

2025 상반기 밀리의서재 IR 분석|구독은 늘었지만, 진짜 반전은 따로 있다

by 아라보자 스튜디오 2025. 5. 17.
반응형

2025 상반기 밀리의서재 IR 분석|구독은 늘었지만, 진짜 반전은 따로 있다

KT의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국내 최대 전자책 구독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밀리의서재. 2025년 1분기 IR을 들여다보면, 단순히 ‘가입자 수 증가’ 외에 놓치기 쉬운 **전략 전환 시그널**들이 숨어 있습니다.

 

📈 1. 수치는 개선됐다… 그런데 뭔가 다르다?

 

  • 구독 매출 증가: 유료 가입자 수 증가 → 전년比 +12%
  • ARPU 개선: KT 결합 상품과의 시너지로 평균 수익 증가
  • 적자 축소: 영업손실은 지속되지만, 비용 효율성 개선

표면적으로는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신규 콘텐츠 투자 규모는 오히려 축소되었고, 오디오북·북토크 중심의 자체 콘텐츠 제작 건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2. 전문가도 놓치기 쉬운 구조적 전환 포인트

 

이번 IR 자료와 감사보고서를 종합해보면, 밀리의서재는 **기존 ‘오리지널 콘텐츠 플랫폼’에서 KT 유통망 중심의 ‘결합상품 플랫폼’으로 체질이 바뀌고 있습니다.**

  • 📌 KT 멤버십 및 통신사 연계 서비스 강화
  • 📌 B2C에서 B2B(B2G 포함) 계약 비중 증가
  • 📌 자체 IP(지식재산) 확보보다 타출판사 라이선싱 중심으로 구조 이동

이 변화는 고정비 감소와 리스크 축소에는 유리하지만, 반대로 브랜드 고유성 약화 → 장기적 밸류에이션 하락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 3.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세 가지 포인트

 

  • 1️⃣ **지속적인 유료 가입자 증가**는 맞지만, **오리지널 콘텐츠는 정체** 중
  • 2️⃣ KT 통신계열 결합 수요로 **구독자는 늘어도 수익성은 상대적 저조**
  • 3️⃣ B2B 사업 강화는 긍정적이나, **차별화 전략 약화** 우려 있음

즉, 숫자로만 보면 성장 중이지만, 콘텐츠 플랫폼으로서의 자산 가치는 약화되고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비슷하게 ‘사용자 기반 수익 구조’를 갖고 있지만, 밀리의서재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수익성과 IP 전략을 구축해 나가고 있는 기업의 사례도 함께 참고해보세요.

👉 서머너즈워는 강하지만, 구조는 바뀌고 있다|컴투스 IR 분석

 

⚠️ 유의할 점

 

  • ❗ 통신사 결합 효과는 ‘순수 콘텐츠 수요’로 보기 어려움
  • ❗ KT 실적과 밀리의서재 수치가 연결되므로, **외부 투자자 입장에서는 별도 사업 리스크 측정 어려움**
  • ❗ 오리지널 콘텐츠 부재는 **글로벌 확장성에 한계**

 

🧭 마무리하며

 

밀리의서재는 여전히 ‘전자책 구독 플랫폼’ 시장의 강자입니다. 하지만 콘텐츠 기반 플랫폼에서 유통 결합형 플랫폼으로 전환 중이라는 점은 장기 투자자라면 반드시 인식해야 할 구조적 변화입니다.

📩 IR 콘텐츠 및 협업 문의

 

이 글은 공식 IR 자료와 감사보고서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해석 콘텐츠입니다.

콘텐츠 협업, 분석 의뢰, 기업 대상 IR 콘텐츠 제작은 아래로 연락 주세요.

👉 hat24714@gmail.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