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 모두채움 신고서, 국세청이 다 채워줬다는데… 진짜 이대로 제출해도 될까요?
올해도 어김없이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네요. 그런데 올해는 조금 다릅니다.
국세청이 '모두채움 신고 대상자'로 선정된 사람들에게는 신고서를 미리 작성해줬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홈택스나 손택스에 접속해보면 놀랄지도 몰라요. 이미 소득과 경비, 심지어 납부세액까지 자동으로 입력돼 있으니까요.
“이대로 제출하면 되겠네?” 아마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실 겁니다. 그런데 저는 한 번 더 생각했습니다. “진짜 이대로 제출해도 문제 없을까?”
✅ 모두채움 신고, 진짜 ‘완성형’일까?
국세청이 제공하는 모두채움 신고는 국세청이 수집한 소득자료를 바탕으로 납세자의 신고서를 미리 작성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신고서가 자동으로 작성돼 있으니, 사용자 입장에서는 확인만 누르면 끝나죠. 실제로 그렇게 제출하는 분들도 많고요.
그런데 문제는, 자동으로 작성된 내용이 '완벽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겁니다.
⚠️ 자동 신고서에서 자주 빠지는 항목들
- ❗ 기부금, 보험료, 교육비 공제 – 자료 누락 가능
- ❗ 부양가족 공제 – 가족 관계 변경 반영 안 될 수도 있음
- ❗ 정부 지원금 미반영 – 소상공인 대출, 보조금 등이 포함되지 않음
이런 항목들이 누락된 채로 제출하면, 받을 수 있는 환급을 놓치거나, 세액이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 홈택스에서 이렇게 확인하세요
- 홈택스 로그인 → 종합소득세 → 모두채움 신고 선택
- 자동 작성된 소득 항목 하나하나 확인
- 공제 항목은 내가 챙긴 자료로 추가 입력
- 환급액/납부세액 검토 후 제출
단 5분이면, 실수 없이 정확한 신고가 가능합니다.
💡 자영업자라면 이 제도도 꼭 확인
세금만 챙기고 끝낼 수는 없죠. 2025년 가맹점 마케팅 지원금 제도도 함께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 마무리 요약
국세청이 자동으로 채워준다고 해서, 무조건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당신의 환급액, 혹은 과세 금액은 단 몇 줄의 공제 항목에 따라 바뀔 수 있어요.
2025년 모두채움 신고, ‘제출’보다 먼저 ‘확인’이 먼저입니다.
반응형
'이슈 >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문 열기도 전에 대출 승인? 신용보증재단으로 가능한 2025 저금리 정책 총정리 (3) | 2025.05.17 |
---|---|
2025 난임치료휴가 제도 완전 정리|남자도 신청할 수 있고 하루 8만원 받는 방법까지 (1) | 2025.05.16 |
카드매출만 있어도 1천만 원? 2025 마케팅까지 되는 가맹점 전용 자금지원 제도 (3) | 2025.05.15 |
2025 중진공 정책자금 대출, 지금 바로 알아야 할 핵심 요약 (1) | 2025.05.14 |
이제는 연장 안 돼요? 2025 펫보험 변경 핵심 요약 (1)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