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융계의 모든 정보를 여러분의 일상속에!
경제/금융

1.8억으로 10억 아파트? 지분형 주담대,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by 아라보자 스튜디오 2025. 5. 5.
반응형

1.8억으로 10억 아파트? 지분형 주담대,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요즘 부쩍 이런 말 자주 들리죠.
“요즘 같은 세상에 누가 집을 사? 월급 모아선 택도 없잖아.”

 

그러다 보니 정부가 새로운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바로 ‘지분형 주택담보대출’.

말이 좀 낯설지만, 핵심은 이렇습니다.
내 돈 + 정부 지분 + 주택담보대출을 조합해 내 집 마련의 벽을 낮춰보자는 겁니다.

위 이미지는 ai로 생성되었습니다


🔍 지분형 주담대, 어떻게 작동하나요?

예를 들어 10억 원짜리 집을 사고 싶은데, 보통이라면 LTV 70% 기준으로 3억은 내 돈이어야 하죠.
하지만 이 제도에선 내 돈 1.8억 + 정부 지분 투자 1억으로도 가능해집니다.

 

대신, 정부가 투자한 지분만큼 수익도 함께 나눠야 해요.
예를 들어 집을 나중에 13억에 팔게 되면, 그 차익 중 정부 몫도 나눠줘야 하죠.

또한 정부 지분에 대해 연 2%의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고, 일정 주기로 지분을 사들여 내 몫을 늘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 사람들 반응은 어땠을까?

피자스테이션 설문에 따르면, 228명의 응답자 중 가장 많은 비율은
‘제한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57.5%)였습니다.

  • 찬성 측: “청년층에게 기회를 주는 정책”, “투기 목적만 막으면 의미 있다”
  • 반대 측: “집값 상승 유도”, “결국 또 빚”, “공공임대가 더 낫다”
  • 중립 or 조건부: “실수요자만 대상”, “의무 거주기간 둬야”

이처럼 “마음은 공감하지만, 실행은 신중히”라는 시선이 많았습니다.


📈 투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 제도는 주택을 자산으로 보는 관점에도 영향을 줍니다.
‘공동 소유’라는 특성은 기존 시장과는 다른 접근이니까요.

 

최근 위믹스 투자자들의 혼란처럼,
정책 하나가 시장 심리를 얼마나 뒤흔드는지 보면,
이 역시 단순한 제도 이상의 파급력이 있다고 봐야겠죠.


🧭 지금 시점에서 중요한 건

정부는 “주거안정을 위해 6월부터 본격 시행하겠다”고 했지만,
그 ‘안정’이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돌아갈지는 아직 모릅니다.

 

한 가지 확실한 건, 청년·무주택자·신혼부부처럼
지금까지 소외됐던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숨통이 트일 수 있다면,

 

그건 정책으로서 존재할 이유가 있다는 것이죠.

다만, 이 제도가 새로운 투기 수단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도입 설계, 대상자 제한, 수익 배분 구조는 매우 정교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입니다.


📌 정리하며

1.8억으로 10억 아파트를 살 수 있는 시대,

듣기엔 좋아 보여도 그 안엔 복잡한 셈법이 들어 있습니다.

내 집 마련’이라는 말이 단지 자산이 아닌,
“삶의 거점”이라는 의미로 통하길 바라는 사람이라면,
이번 지분형 주담대, 한 번쯤은 깊이 생각해볼 만합니다.

 

 

 

#지분형주담대 #내집마련 #정부대출정책 #청년주거지원 #주택금융공사 #부동산정책 #정부지분투자 #공동소유 #자산불평등 #지분대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