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 미국발 관세 전쟁 여파에 국내 증시 패닉|경제 뉴스 정리
2024년 4월,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 여파로 전 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습니다. 국내 코스피 시장은 급락하며 ‘사이드카’가 발동됐고, 주요 대형주는 물론 개인 소비까지 얼어붙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오늘 증시 이슈 요약과 함께, 원달러 환율·관세 정책·소비자 물가 상승 흐름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 지난해 8월 이후 처음
한국거래소는 오전 9시 12분, 코스피200 선물 지수가 전일 대비 5% 이상 급락해 1분 이상 지속되자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습니다. 이는 작년 8월 이후 처음이며, 5분 후인 9시 17분에 해제됐습니다. 사이드카는 하루 1회 5분간 프로그램 매매를 정지시키는 조치입니다.
🇺🇸 미국발 관세 정책의 직격탄… 글로벌 증시 동반 하락
미국 정부는 10%의 기본 관세 외에, 9일부터는 국가별 맞춤형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50여 개국이 협상을 요청했지만, 미국 상무부는 "연기나 유예는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 주식 시장이 급락했고, 코스피도 5%, 코스닥은 4%가량 하락했습니다.
📉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시총 상위주 줄줄이 급락
삼성전자는 4%, SK하이닉스는 6% 이상 하락했으며, 현대차와 기아차는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인 가운데 개인 투자자만 매수세에 나섰습니다. 반면, 저출산·일자리 관련주는 강세를 보이며 일부 방어하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 원달러 환율 1,468원… 탄핵과 개엄 변수도 작용
환율은 관세 영향 외에도 국내 정치 이슈, 특히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 이후 심리적 불확실성 해소로 급변동했습니다. 하루 만에 32원이 하락해 1,434원까지 내려가며, 개엄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 물가 쇼크… 장보기 부담 커져
햄, 냉동만두, 라면, 과자 등 가공식품 물가가 3.6% 상승해 2022년 이후 최대 폭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식품 기업과 외식 프랜차이즈들도 줄줄이 가격 인상을 단행하며, 소비자 체감 물가는 더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소득이 낮을수록 생활 물가에 민감한 계층의 타격이 크며, ‘장바구니 줄이기’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 전 세계 반 트럼프 시위… “관세 멈춰라”
미국 내 5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Hands Off’ 시위를 벌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예산 삭감 등을 비판했습니다.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등에서도 동조 시위가 벌어졌으며, 세계 경제 성장률이 역성장에 가까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 코스피, 코스닥 급락… 사이드카 발동
- 미국 상호관세 9일부터 본격 시행
- 원달러 환율 1,430원대 진입
- 반도체, 자동차 등 주요주 약세
- 식품·외식 물가 상승으로 소비 위축
- 글로벌 증시·경제 전체 위축 우려 증가
#코스피사이드카 #관세전쟁 #트럼프관세 #미국무역정책 #환율하락 #물가상승 #주식시장분석 #삼성전자하락 #시황정리 #경제뉴스 #가공식품가격 #시위 #글로벌경제위기 #코스닥하락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주가 전망 1편: 트럼프 관세 완화가 주는 의미와 반도체 업황 분석 (1) | 2025.04.14 |
---|---|
2025년 원/달러 환율 급락 이유는? 달러 패권 위기와 시장 전망 총정리 (2) | 2025.04.13 |
코카콜라가 흔들린다? 펩시 제로가 바꾼 탄산음료 시장의 판도 (0) | 2025.04.07 |
NC소프트 주가, 왜 계속 떨어질까? 게임주 투자자의 현실 점검 보고서 (1) | 2025.04.05 |
🧨 2025 미국 증시 대폭락 전말 총정리: 관세 폭탄, 공포 지수 급등, 그리고 앞으로의 투자 전략까지 (2) | 2025.04.05 |